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본고에서는 정부투자기관의 적정보수 수준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25개 정부투자기관의 보수실태를 민간기업 및 공무원의 경우와 대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부투자기관의 보수수준은 「민간·공공대등의 원칙」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며,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1985년 3월의 시점에서 공공·민간 각 부문 종사자들의 직종별·학력별 생애임금(퇴직금 포함) 수준을 추계하여 비교하였고, 동시에 부문별 임금함수를 추정하여 임금격차 구조상의 부문간 상이여부를 검증하였다. 검증에 의하면 민간기업(500...
Main Author: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987-10-01
|
Series: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Online Access: | https://doi.org/10.23895/kdijep.1987.9.2.39 |
_version_ | 1818701123486220288 |
---|---|
author | 박, 세일 |
author_facet | 박, 세일 |
author_sort | 박, 세일 |
collection | DOAJ |
description | 본고에서는 정부투자기관의 적정보수 수준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25개 정부투자기관의 보수실태를 민간기업 및 공무원의 경우와 대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부투자기관의 보수수준은 「민간·공공대등의 원칙」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며,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1985년 3월의 시점에서 공공·민간 각 부문 종사자들의 직종별·학력별 생애임금(퇴직금 포함) 수준을 추계하여 비교하였고, 동시에 부문별 임금함수를 추정하여 임금격차 구조상의 부문간 상이여부를 검증하였다. 검증에 의하면 민간기업(500인 이상)에 비하여 정부투자기관의 평균생애임금은 사무관리직의 경우 21%, 생산기능직의 경우 39% 높았다. 동시에 정부투자기관 상호간의 생애임금 격차도 적지 않았다. 반면에 학력·성·직종에 따른 임금격차는 민간기업에 비하여 정부투자기관이 훨씬 적었다. 보수체계에 있어서는 사무직의 경우 각종 수당이 민간기업에서는 총급여의 25%를 차지하였으나 투자기관에서는 총급여의 53%에 달하였다. 한편 공무원의 평균생애임금은 민간기업의 수준보다 낮아 사무관리직의 경우 민간기업 수준의 71%, 생산기능직의 경우 민간기업 수준의 90%에 불과하였다. 본고의 결과에 의하면 공공부문의 보수정책에는 개선의 여지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
first_indexed | 2024-12-17T15:15:50Z |
format | Article |
id | doaj.art-3a3e5946030649de97cb25f5d0d218d0 |
institution | Directory Open Access Journal |
issn | 2586-2995 2586-4130 |
language | English |
last_indexed | 2024-12-17T15:15:50Z |
publishDate | 1987-10-01 |
publishe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record_format | Article |
series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spelling | doaj.art-3a3e5946030649de97cb25f5d0d218d02022-12-21T21:43:31Zeng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2586-29952586-41301987-10-0192397010.23895/kdijep.1987.9.2.39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박, 세일본고에서는 정부투자기관의 적정보수 수준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25개 정부투자기관의 보수실태를 민간기업 및 공무원의 경우와 대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부투자기관의 보수수준은 「민간·공공대등의 원칙」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며,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1985년 3월의 시점에서 공공·민간 각 부문 종사자들의 직종별·학력별 생애임금(퇴직금 포함) 수준을 추계하여 비교하였고, 동시에 부문별 임금함수를 추정하여 임금격차 구조상의 부문간 상이여부를 검증하였다. 검증에 의하면 민간기업(500인 이상)에 비하여 정부투자기관의 평균생애임금은 사무관리직의 경우 21%, 생산기능직의 경우 39% 높았다. 동시에 정부투자기관 상호간의 생애임금 격차도 적지 않았다. 반면에 학력·성·직종에 따른 임금격차는 민간기업에 비하여 정부투자기관이 훨씬 적었다. 보수체계에 있어서는 사무직의 경우 각종 수당이 민간기업에서는 총급여의 25%를 차지하였으나 투자기관에서는 총급여의 53%에 달하였다. 한편 공무원의 평균생애임금은 민간기업의 수준보다 낮아 사무관리직의 경우 민간기업 수준의 71%, 생산기능직의 경우 민간기업 수준의 90%에 불과하였다. 본고의 결과에 의하면 공공부문의 보수정책에는 개선의 여지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https://doi.org/10.23895/kdijep.1987.9.2.39 |
spellingShingle | 박, 세일 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title | 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
title_full | 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
title_fullStr | 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
title_full_unstemmed | 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
title_short | Public-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
title_sort | public priv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written in korean |
url | https://doi.org/10.23895/kdijep.1987.9.2.39 |
work_keys_str_mv | AT bagseil publicprivatewagedifferentialsinkoreawritteninkor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