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우리나라 조세행정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 가운데 징세당국의 재량적 과세행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재량적 과세행위는 조세수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재정의 경기안전화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가 예상외로 활성화되어 징세노력을 특별히 강화하지 않더라도 예산상 정해진 세수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 당국이 실제로 징세노력을 덜 기울인다면 조세수입이 감소하고 경기안정화기능이 약화된다. 징세당국의 재량적 과세행위를 자료에서 포착하는 방법은 직관적으...

Full descriptio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고, 영선
Format: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999-12-01
Series: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Online Access:https://doi.org/10.23895/kdijep.1999.21.3-4.3
_version_ 1819082969632997376
author 고, 영선
author_facet 고, 영선
author_sort 고, 영선
collection DOAJ
description 우리나라 조세행정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 가운데 징세당국의 재량적 과세행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재량적 과세행위는 조세수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재정의 경기안전화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가 예상외로 활성화되어 징세노력을 특별히 강화하지 않더라도 예산상 정해진 세수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 당국이 실제로 징세노력을 덜 기울인다면 조세수입이 감소하고 경기안정화기능이 약화된다. 징세당국의 재량적 과세행위를 자료에서 포착하는 방법은 직관적으로 간단한다. 즉, 세수방정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수들(경상성장률 등) 외에 예산상의 세수목표 또는 예상했던 성장률을 독립변수로서 추가로 포함시키면 된다. 이들 변수들이 실제세수를 설명하는 변수로서 역할을 한다면 이러한 요인에 따라 징세노력이 변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고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실제성장률이 예상성장률보다 높으면 징세노력이 약화되고, 반대로 실제성장률이 예상성장률보다 낮으면 징세노력이 강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소득세, 상속세, 부가가치세의 경우에 현저하며, 다른 세목에서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만일 경기변동에 따라 당국이 징세노력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지 않았다면 이들 3개 세목에서 추가로 징수할 수 있었던 조세수입은 1980~98년간 평균적으로 GDP 대비 0.2%에 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외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재정수지의 경기안정화기능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first_indexed 2024-12-21T20:25:07Z
format Article
id doaj.art-3bcda31e070a4042b6dce315e9c588e3
institution Directory Open Access Journal
issn 2586-2995
2586-4130
language English
last_indexed 2024-12-21T20:25:07Z
publishDate 1999-12-01
publishe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record_format Article
series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spelling doaj.art-3bcda31e070a4042b6dce315e9c588e32022-12-21T18:51:23Zeng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2586-29952586-41301999-12-01213-436110.23895/kdijep.1999.21.3-4.3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고, 영선우리나라 조세행정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 가운데 징세당국의 재량적 과세행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재량적 과세행위는 조세수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재정의 경기안전화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가 예상외로 활성화되어 징세노력을 특별히 강화하지 않더라도 예산상 정해진 세수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 당국이 실제로 징세노력을 덜 기울인다면 조세수입이 감소하고 경기안정화기능이 약화된다. 징세당국의 재량적 과세행위를 자료에서 포착하는 방법은 직관적으로 간단한다. 즉, 세수방정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수들(경상성장률 등) 외에 예산상의 세수목표 또는 예상했던 성장률을 독립변수로서 추가로 포함시키면 된다. 이들 변수들이 실제세수를 설명하는 변수로서 역할을 한다면 이러한 요인에 따라 징세노력이 변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고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실제성장률이 예상성장률보다 높으면 징세노력이 약화되고, 반대로 실제성장률이 예상성장률보다 낮으면 징세노력이 강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소득세, 상속세, 부가가치세의 경우에 현저하며, 다른 세목에서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만일 경기변동에 따라 당국이 징세노력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지 않았다면 이들 3개 세목에서 추가로 징수할 수 있었던 조세수입은 1980~98년간 평균적으로 GDP 대비 0.2%에 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외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재정수지의 경기안정화기능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https://doi.org/10.23895/kdijep.1999.21.3-4.3
spellingShingle 고, 영선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title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title_full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title_fullStr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title_full_unstemmed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title_short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title_sort empirical evidence on opportunistic tax collection written in korean
url https://doi.org/10.23895/kdijep.1999.21.3-4.3
work_keys_str_mv AT goyeongseon empiricalevidenceonopportunistictaxcollectionwrittenin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