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ng the Use of Distilled Water for Washing Sodium Hydroxide in Mycobacterial Culture

배경: 항산균 검사를 위한 호흡기 검체는 점액과 상재균 제거를 위해 N-acetyl-L-cysteine-sodium hydroxide (NALC-NaOH)로 전처리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과 중화를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완충용액대신에 증류수 사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방법: 2016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2년 동안 광주 소재 종합 병원에서 진행된 항산균검사를 분석했다. 호흡기검체의 전처리 세척제로 인산완충용액과 증류수를 각각 1년씩 사용하여 검사하였다.결과: 배양 양성률은 인산완충용액 사용시기에...

Full descriptio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해경 백, 현미 고, 명희 이
Format: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2020-12-01
Series: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Subjects:
Online Access:https://www.acm.or.kr/article_aws/?num=ACM_20-007
Description
Summary:배경: 항산균 검사를 위한 호흡기 검체는 점액과 상재균 제거를 위해 N-acetyl-L-cysteine-sodium hydroxide (NALC-NaOH)로 전처리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과 중화를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완충용액대신에 증류수 사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방법: 2016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2년 동안 광주 소재 종합 병원에서 진행된 항산균검사를 분석했다. 호흡기검체의 전처리 세척제로 인산완충용액과 증류수를 각각 1년씩 사용하여 검사하였다.결과: 배양 양성률은 인산완충용액 사용시기에 12.7% (1,843/14,532), 증류수 사용시기에 14.7% (2,095/14,291)였다. MGIT의 양성률과 MTBC와 NTM의 분리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 Ogawa media에서는 NTM의 배양이 47.4% (399/841)에서 56.1% (630/1,122)로 증가함에 따라 양성률이 45.6% (841/1,843)에서 53.6% (1,121/2,095)로 증가하였다. MGIT 오염률은 6.5%에서 4.1% 로 감소하였다결론: NALC-NaOH 세척제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은 MGIT의 오염률은 감소시키면서 Ogawa media의 양성률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항산균 배양 검사에서 전처리 세척제로 인산완충용액대신 증류수 사용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SSN:2288-0585
2288-6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