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2년이 경과한 현재 실업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임금수준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었으나, 고용수준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우려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것처럼 고실업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향후 고용 및 실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구조적 실업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의 시행에...
Main Author: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999-12-01
|
Series: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Online Access: | https://doi.org/10.23895/kdijep.1999.21.3-4.105 |
_version_ | 1817999894807314432 |
---|---|
author | 유, 경준 |
author_facet | 유, 경준 |
author_sort | 유, 경준 |
collection | DOAJ |
description |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2년이 경과한 현재 실업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임금수준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었으나, 고용수준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우려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것처럼 고실업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향후 고용 및 실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구조적 실업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의 시행에 두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실업고 분배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초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수십년 동안 경험을 축적한 OECD국가의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OECD국가에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개별기업의 상황에 맞게 임금결정구조의 분권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의 결정은 과거의 물가상승률이나 생산성 증가 등의 지수화에 의존하던 정책을 포기하고 미래지향적으로 물가상승의 예측치만큼 설정한 후 그 변동분은 사후적으로 고려하는 소득정책협약(income policy agreements)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성과를 기존의 취업자 외에 실업자와 신규근로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통한 일자리의 창출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유럽과 미국에서 별견된 경험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분배의 상충관계(trade-off)를 염두에 둘 필요는 있으나, 일자리의 창출은 일자리를 가짐으로써 불평등도를 개선하는 고용효과(employment effect)가 임금격차의 발생으로 불평등도를 확대시키는 임금효과(income effect)를 상쇄할 경우 오히려 분배구조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
first_indexed | 2024-04-14T03:15:16Z |
format | Article |
id | doaj.art-d6dd4dd4c22f4949a25e66140276aa40 |
institution | Directory Open Access Journal |
issn | 2586-2995 2586-4130 |
language | English |
last_indexed | 2024-04-14T03:15:16Z |
publishDate | 1999-12-01 |
publisher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record_format | Article |
series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spelling | doaj.art-d6dd4dd4c22f4949a25e66140276aa402022-12-22T02:15:30Zeng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2586-29952586-41301999-12-01213-410514610.23895/kdijep.1999.21.3-4.105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유, 경준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2년이 경과한 현재 실업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임금수준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었으나, 고용수준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우려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것처럼 고실업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향후 고용 및 실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구조적 실업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의 시행에 두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실업고 분배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초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수십년 동안 경험을 축적한 OECD국가의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OECD국가에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개별기업의 상황에 맞게 임금결정구조의 분권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의 결정은 과거의 물가상승률이나 생산성 증가 등의 지수화에 의존하던 정책을 포기하고 미래지향적으로 물가상승의 예측치만큼 설정한 후 그 변동분은 사후적으로 고려하는 소득정책협약(income policy agreements)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성과를 기존의 취업자 외에 실업자와 신규근로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통한 일자리의 창출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유럽과 미국에서 별견된 경험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분배의 상충관계(trade-off)를 염두에 둘 필요는 있으나, 일자리의 창출은 일자리를 가짐으로써 불평등도를 개선하는 고용효과(employment effect)가 임금격차의 발생으로 불평등도를 확대시키는 임금효과(income effect)를 상쇄할 경우 오히려 분배구조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https://doi.org/10.23895/kdijep.1999.21.3-4.105 |
spellingShingle | 유, 경준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title |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
title_full |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
title_fullStr |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
title_full_unstemmed |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
title_short |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
title_sort | labor market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written in korean |
url | https://doi.org/10.23895/kdijep.1999.21.3-4.105 |
work_keys_str_mv | AT yugyeongjun labormarketpolicyaftertheeconomiccrisiswritteninkor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