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를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라는 두 가지 문제로 파악하는 한편, 과열된 과외, 치열한 입시경재, 미흡한 교육투자 등을 핵심문제로 보는 기존의 시각을 비판하였다. 또한 우리는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 ‘교육실패’ 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실증적 근거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교육실패에 대한 원인으로서 중앙정부의 교육부와 지방교육자치단체인 교육청이 우리 교육의 거의 모든 과정을 일일이 규제하고 통제...

Full descriptio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이, 주호, 우, 천식
Format: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998-12-01
Series: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Online Access:https://doi.org/10.23895/kdijep.1998.20.1-2.79
_version_ 1819273886940790784
author 이, 주호
우, 천식
author_facet 이, 주호
우, 천식
author_sort 이, 주호
collection DOAJ
descript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를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라는 두 가지 문제로 파악하는 한편, 과열된 과외, 치열한 입시경재, 미흡한 교육투자 등을 핵심문제로 보는 기존의 시각을 비판하였다. 또한 우리는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 ‘교육실패’ 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실증적 근거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교육실패에 대한 원인으로서 중앙정부의 교육부와 지방교육자치단체인 교육청이 우리 교육의 거의 모든 과정을 일일이 규제하고 통제함으로써 교육주체들의 유인(incentive)을 빼앗아가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우리의 교육실패는 교육부문에서의 정부실패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1980년의 교육개혁은 정부규제를 오히려 강화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실패한 개혁이며, 1995년의 개혁은 방향 설정은 제대로 되었으나 실행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향후 교육개혁의 방향으로 보다 과감한 규제완화(deregulation)와 분권화(decentralization)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정책대안으로는, 대학의 학생선발의 완전한 자유화, 시․도 교육청의 시․도청 관할로의 통폐합, 자립형 사립중고등학교 및 탈규제학교 제도의 도입, 교원인사제도의 개혁, 과외에 대한 정부규제의 철폐 등을 건의하였다.
first_indexed 2024-12-23T22:59:40Z
format Article
id doaj.art-f532aa855bdb498590690fbd6f2f3272
institution Directory Open Access Journal
issn 2586-2995
2586-4130
language English
last_indexed 2024-12-23T22:59:40Z
publishDate 1998-12-01
publishe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record_format Article
series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spelling doaj.art-f532aa855bdb498590690fbd6f2f32722022-12-21T17:26:58Zeng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2586-29952586-41301998-12-01201-27915110.23895/kdijep.1998.20.1-2.79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이, 주호우, 천식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를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라는 두 가지 문제로 파악하는 한편, 과열된 과외, 치열한 입시경재, 미흡한 교육투자 등을 핵심문제로 보는 기존의 시각을 비판하였다. 또한 우리는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 ‘교육실패’ 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실증적 근거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교육실패에 대한 원인으로서 중앙정부의 교육부와 지방교육자치단체인 교육청이 우리 교육의 거의 모든 과정을 일일이 규제하고 통제함으로써 교육주체들의 유인(incentive)을 빼앗아가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우리의 교육실패는 교육부문에서의 정부실패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1980년의 교육개혁은 정부규제를 오히려 강화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실패한 개혁이며, 1995년의 개혁은 방향 설정은 제대로 되었으나 실행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향후 교육개혁의 방향으로 보다 과감한 규제완화(deregulation)와 분권화(decentralization)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정책대안으로는, 대학의 학생선발의 완전한 자유화, 시․도 교육청의 시․도청 관할로의 통폐합, 자립형 사립중고등학교 및 탈규제학교 제도의 도입, 교원인사제도의 개혁, 과외에 대한 정부규제의 철폐 등을 건의하였다.https://doi.org/10.23895/kdijep.1998.20.1-2.79
spellingShingle 이, 주호
우, 천식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title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title_full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title_fullStr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title_full_unstemmed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title_short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title_sort educational failure and reform in korea written in korean
url https://doi.org/10.23895/kdijep.1998.20.1-2.79
work_keys_str_mv AT ijuho educationalfailureandreforminkoreawritteninkorean
AT ucheonsig educationalfailureandreforminkoreawrittenin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