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북한의 경제개발전략의 제특징은 저렴한 농산물가격에 의한 농업부분에서의 잉여, 저임금에 의한 도시노동자들로부터의 잉여를 가지고 경제발전을 이룩하는 것이라 요약할 수 있다. 농민, 도시노동자 양측을 희생시키면서 유지되어 온 이러한 성장구조는 원래 같으면 저농산물가격→저임금→저축자금확대 →재투자→생산량증가→소비수준 증가로 점진적으로 발전해야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전략은 처음부터 철저히 부정되어 왔다. 먼저 농촌부분 부터 보면 농촌협동조합에서의 소유제도, 분배제도의 문제로 인해 농민의 근로의욕이 크게 상실되었고 그 결과 농업생...

Full descriptio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박, 정동
Format: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996-10-01
Series: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Online Access:https://doi.org/10.23895/kdijep.1996.18.2.185
_version_ 1818143019028709376
author 박, 정동
author_facet 박, 정동
author_sort 박, 정동
collection DOAJ
description 북한의 경제개발전략의 제특징은 저렴한 농산물가격에 의한 농업부분에서의 잉여, 저임금에 의한 도시노동자들로부터의 잉여를 가지고 경제발전을 이룩하는 것이라 요약할 수 있다. 농민, 도시노동자 양측을 희생시키면서 유지되어 온 이러한 성장구조는 원래 같으면 저농산물가격→저임금→저축자금확대 →재투자→생산량증가→소비수준 증가로 점진적으로 발전해야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전략은 처음부터 철저히 부정되어 왔다. 먼저 농촌부분 부터 보면 농촌협동조합에서의 소유제도, 분배제도의 문제로 인해 농민의 근로의욕이 크게 상실되었고 그 결과 농업생산은 저하되었다. 한편 도시부분에서는 인민들의 저소비의 결과로 축적된 자금이 군사부분에 집중적으로 투자됨으로 인해 그 투자효과가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급자족지향형의 중공업화는 중공업과 관련산업 상호간의 수요만을 충족시켜 왔다. 그 외에 기업이 국가의 지령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국영기업관리체제의 비효율성도 지금의 북한경제를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농업생산의 정체, 중공업을 위한 중공업정책이라고 하는 왜곡된 투자구조, 기업관리체제의 비효율성은 북한의 계획경제순환구조를 기본부터 뒤흔들기 시작하면서, 급기야 1980년대 후반부터는 순환구조 그 자체를 마비시키는 사태로까지 발전했다. 순환구조의 마비라고 하는 심각한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북한은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를 설치하고 새로운 자금축적원으로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는 개방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하지만 북한의 경제순환구조의 마비를 풀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은 어디까지나 그 발단인 농촌의 경제체제개혁, 농·경공업을 위한 중공업, 국영기업의 개혁 등을 과감히 실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해외직접투자라는 새로운 자금축적원은 어디까지나 지금의 악순환구조를 임시적으로 정지시켜 주는 보완적인 조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first_indexed 2024-12-11T11:25:00Z
format Article
id doaj.art-10c02564569d43f7910489661540e7b9
institution Directory Open Access Journal
issn 2586-2995
2586-4130
language English
last_indexed 2024-12-11T11:25:00Z
publishDate 1996-10-01
publishe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record_format Article
series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spelling doaj.art-10c02564569d43f7910489661540e7b92022-12-22T01:09:01Zeng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2586-29952586-41301996-10-0118218520910.23895/kdijep.1996.18.2.185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박, 정동북한의 경제개발전략의 제특징은 저렴한 농산물가격에 의한 농업부분에서의 잉여, 저임금에 의한 도시노동자들로부터의 잉여를 가지고 경제발전을 이룩하는 것이라 요약할 수 있다. 농민, 도시노동자 양측을 희생시키면서 유지되어 온 이러한 성장구조는 원래 같으면 저농산물가격→저임금→저축자금확대 →재투자→생산량증가→소비수준 증가로 점진적으로 발전해야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전략은 처음부터 철저히 부정되어 왔다. 먼저 농촌부분 부터 보면 농촌협동조합에서의 소유제도, 분배제도의 문제로 인해 농민의 근로의욕이 크게 상실되었고 그 결과 농업생산은 저하되었다. 한편 도시부분에서는 인민들의 저소비의 결과로 축적된 자금이 군사부분에 집중적으로 투자됨으로 인해 그 투자효과가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급자족지향형의 중공업화는 중공업과 관련산업 상호간의 수요만을 충족시켜 왔다. 그 외에 기업이 국가의 지령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국영기업관리체제의 비효율성도 지금의 북한경제를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농업생산의 정체, 중공업을 위한 중공업정책이라고 하는 왜곡된 투자구조, 기업관리체제의 비효율성은 북한의 계획경제순환구조를 기본부터 뒤흔들기 시작하면서, 급기야 1980년대 후반부터는 순환구조 그 자체를 마비시키는 사태로까지 발전했다. 순환구조의 마비라고 하는 심각한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북한은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를 설치하고 새로운 자금축적원으로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는 개방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하지만 북한의 경제순환구조의 마비를 풀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은 어디까지나 그 발단인 농촌의 경제체제개혁, 농·경공업을 위한 중공업, 국영기업의 개혁 등을 과감히 실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해외직접투자라는 새로운 자금축적원은 어디까지나 지금의 악순환구조를 임시적으로 정지시켜 주는 보완적인 조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https://doi.org/10.23895/kdijep.1996.18.2.185
spellingShingle 박, 정동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title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title_full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title_fullStr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title_full_unstemmed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title_short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title_sort fundamental problems of dpr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ritten in korean
url https://doi.org/10.23895/kdijep.1996.18.2.185
work_keys_str_mv AT bagjeongdong fundamentalproblemsofdprkeconomicdevelopmentstrategywritteninkorean